<p></p><br /><br />[리포트]<br>한미정상회담 관련 소식 뉴스분석으로 이어가겠습니다. 하태원 국제부장 나와 있습니다. 키워드 부터 소개해 주시죠? <br> <br>3주 앞으로 다가온 북-미 정상회담. 살얼음판을 걷는 듯 불안 불안합니다. 길잡이 역할을 하겠다고 공언한 문재인 대통령도 노심초사하는 표정이 역력합니다. 오늘 공개됐던 한미정상회담 30분 차근차근 짚어보겠습니다. <br><br>[질문1] 문재인 대통령이 1박 4일이라는 일정으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러 간 것도 결국 트럼프 구상을 알고 싶어서였을 텐데요. 핵심은 무엇인가요? <br><br>3주 앞으로 다가온 정상회담의 핵심을 두가지 키워드로 명확하게 설명했습니다. <br> <br>단계적 비핵화가 아닌 일괄타결 방식으로 북한의 핵폐기가 이뤄져야 한다는 말이고, <br>매우 짧은 기간에 초단기적으로 비핵화를 마무리 해야 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한 것입니다. 첫 4년 임기가 끝나는 2020년까지는 확실한 매듭을 짓겠다는 뜻입니다. <br><br>[질문2] 문재인 대통령은 어떤 내용으로 트럼프 대통령을 설득하고 왔습니까? <br><br>트럼프 추켜세우기와 워싱턴에 팽배하고 있는 비관론을 잠재우는 것이 문 대통령의 가장 큰 목표였습니다. 직접 들어보시죠. <br><br>과거에 실패했었다고 이번에도 실패할 것이라고 미리 비관한다면 역사의 발전이란 것은 있을 수 없을 것입니다. 트럼프 대통령은 지금의 이 극적인 변화, 긍정적인 상황 변화를 이끌어내셨습니다. <br><br>트럼프 대통령의 호응도 일정 부분 이끌어 냈습니다.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"김정은 위원장의 안전을 보장할 것"이라고 했죠. 북한이 부자나라가 될 것이라고도 했습니다. 경제보상 약속입니다. <br><br>[질문3] 하지만 중국에 대해서는 불편한 심경을 드러냈죠? <br><br>김정은 위원장이 뻣뻣하게 나오는 것은 시진핑 주석 탓이라고 판단한 듯 합니다. 다롄에서의 두번째 만남에 문제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. 시 주석을 세계 수준의 포커 플레이어라고 부르면서 문 대통령에게 돌발질문도 했습니다. <br><br>[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]<br>시진핑 주석은 세계적 수준의 포커 플레이어입니다. 문 대통령은 다른 의견일 수 있겠군요. (두 번의 북중회담을) 어떻게 생각하는지 듣고 싶습니다. 하긴 문 대통령은 아시다시피 중국에서 너무 멀지 않은 옆에 살고 있죠. <br><br>"곤란하실텐데..." <br>"이웃나라인데..." <br><br>뒷 부분은 뼈 있는 농담으로 들립니다. <br>시주석이나 김 위원장 편들지 말고 북한 비핵화 압박 대열에 확실히 동참하라는 묵직한 견제구로 해석할 수 있겠습니다. <br><br>[질문4] 그야말로 순간순간 살얼음판 같은 순간이 있었군요. 그런데 끝나는 순간까지도 매끄럽지 못한 장면이 있었다구요? <br><br>트럼프 대통령이 기자들에게 수고했다는 말을 하면서 예상보다 길었던 30분간의 기자회견이 마무리 되는 듯 했습니다. 곧바로 단독정상회담이 이어지기 때문에 장내를 정리하면서 좀 소란스러운 장면이 이어졌는데. 한국 기자가 어수선한 분위기에서 질문을 이어갔고 문 대통령이 답을 했습니다. 통역은 없었습니다. <br> <br>문제는 다음 장면입니다. 들어보시죠. <br> <br>상대국 정상이 공식적으로 발언한 것인데 들을 필요도 없다는 말이 좀 귀에 거슬린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결례논란이 불거질 수도 있습니다. <br><br>[질문5] 그나저나 북미정상회담은 예정대로 열리나요? <br> <br>열린다에 걸겠습니다. 99.9%는 아니더라도 90% 이상 열릴 것으로 봅니다. 참고로 오늘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 출장일정을 확정했습니다. 10일 싱가포르 도착예정입니다. <br><br>하태원 국제부장이었습니다. <br>